무리입니까? 제자입니까?
미혹은 ‘빗나갔다’라는 뜻으로, 하늘의 별들은 모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기 자리를 지키는데 밤하늘에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유성을 미혹의 상태로 설명합니다.
미혹된 사람들의 상태는 마치 이와같이 길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예수님 시대를 보면 군중들은 언제나 모였다가 떠났다를 반복하였습니다.
그들의 중심에는 진리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중심적으로, 자기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예수님을 따랐던 것입니다.
떡을 찾았던 군중들은 떡이 주어지지 않으면 떠났습니다.
항상 그렇게 뭔가 얻어내려는 의지 밖에 없었습니다.
성경은 이들에 대해 한 번도 '제자'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그저 ‘무리들’이라고 불렸습니다.
우린 지금 무엇을 따르고 있습니까?
무엇을 위해 따르고 있습니까?
우리의 신앙이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기 보다 자신의 기호에 맞추어 필요한 것을 채우는 이기적인 신앙이 아닌지 돌아봐야 합니다.
여전히 불안한 이유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연약하기 때문에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고 걱정하며 살아갑니다.
우리는 내일을 알지 못합니다.
한 치 앞도 모릅니다.
그래서 더욱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임에도 삶에 대한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에 짓눌려 있다면 가장 큰 원인은 불신앙입니다. 우리가 걱정과 불안을 하나님께 맡기지 못하는 이유는 나는 체감하지 못하지만 본질적으로 교만 때문입니다.
즉, 하나님의 자리에 내 자신이 앉아 있는 것입니다.
내 자신이 인생의 주인이 되어있기에 하나님께 직접적으로 불안과 걱정을 맡기지 못합니다.
신앙은 '위탁'하는 것입니다.
믿음은 삶의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하나님께 절대적으로 '맡기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 떠넘기고 우리의 책임을 피하는 것과는 분명 다른 것이어야 합니다.
내 지식과 경험과 능력으로 할 수 없는 수많은 것들에게 대한 하나님의 전적인 신뢰에서 오는 그런 맡김이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무엇보다 <훈련>해야 합니다.
그것도 늘 반복적으로 말입니다.